정권말기 대기업 때리기 “많이 묵었다 아이가, 고마해라~!”
정권말기 대기업 때리기 “많이 묵었다 아이가, 고마해라~!”
  • 최영택 (admin@the-pr.co.kr)
  • 승인 2011.10.19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영택의 PR 3.0

비즈니스 프렌들리로 시작했던 MB정부가 결국은 정권 말기에 ‘비즈니스 언프렌들리’ 로 가고 있다. 최근 정부와 한나라당은 내년에 있을 총선과 대선을 의식해서인지 대기업 법인세 감세 철회, 비정규직 차별금지 가이드라인 제정 추진,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 등 표를 의식한 복지 포퓰리즘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 밖에도 전경련의 근본적 쇄신 요구, 기부문화 확대 요구, 세법개정안에 ‘공생발전’ 기조 반영, 공정위의 4대 그룹에 대한 SI·물류 등 경쟁입찰 실시 권고, 특수관계법인 간 ‘일감 몰아주기’ 이익에 최고 50%의 증여세 부과 등 대기업을 옥죄고 중소기업 숨통을 틔우는 소위 ‘억지공생’ 을 연출하는데 갖은 아이디어를 다 짜냈다.

여기에 청와대는 이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 간 공생발전 간담회를 열었고, 최근 김대기 청와대 경제수석은 10대 그룹 경영기획실장들을 불러 공생발전 실행방안을 점검했다. 또한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은 지속적으로 대기업에 동반성장을 요구하면서 최근에는 출자총액제한제도 부활을 제기하고,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은 “IT강국 코리아의 위기는 바로 대기업이 SI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면서 발생했다” 고 언급하고, 은행들도 대기업 계열사 대출우대관행을 폐지하는 등 대기업 때리기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또한 언론사들도 가세해 국내 대기업이 존경 받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노블레스 오블리주’ 의 실종에서 찾을 수 있다거나, 대기업 오너들의 기부가 그 동안 심심찮게 있었지만 대부분 검찰 수사나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았을 때 ‘면피용’ 으로 이뤄져 늘 진정성을 의심 받았다는 표현을 써가며 反기업 정서를 조장하고 있다.

정부정책 따라 왔는데…‘억지공생’ 연출?

최근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며 압도적인 인기를 받다가 불출마를 선언하며 박원순 변호사에게 바통을 넘겨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도 “외국기업들은 생태계를 만들고 한국대기업은 동물원을 만든다” 며 대기업 동물원론을 제기해 그의 인기도 상승에 한 몫을 보태고 있다. 얼마 전 국회 청문회에서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정치권의 감세 철회와 반값 등록금 추진을 ‘포퓰리즘’ 이라고 비판하자, 갖은 막말을 쏟아내며 허 회장을 공격해 국회가 비판과 싫은 소리를 하지 못하도록 재갈을 물리려는 자리가 아니었나 의구심이 들 정도로 국회의 ‘대기업 때리기’ 가 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 쇄도하고 있다.

대선을 1년여 남겨 놓아 레임덕(lame duck) 현상이 가까워 왔지만 대기업의 싱크탱크인 경영기획실이나 홍보실은 그 동안 쏟아내는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는 듯 고졸과 신입사원 채용 확대, 미소금융사업 확대, 지식 기부, MRO사업 철수, 중소기업과의 온갖 상생협력 아이디어를 내어 가며 정부정책에 협조해 왔다. 한편으로는 개인 기부에 대한 언론과 여론의 압력(?)에 못 견뎌 한나라당 정몽준 의원이 앞장서 2000억 원을 기부하는 등 현대가의 5000억 원 규모의 나눔재단 설립에 이어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정몽구 회장의 5000억 원 개인기부가 이어지고 있지만, 일부 언론에서 칭찬을 보탰을 뿐 여론은 싸늘하기만 하다. 전세계가 글로벌 경제위기로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상황에서 그래도 대한민국 5000년 역사 이래 이만큼 경제안정국으로 지낼 수 있는 이유가 대기업들이 수출에 앞장서고 세계적인 브랜드와 일류상품을 만들어 내는 등 국가경제에 이바지한 공적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럼에도 칭찬하기는커녕 도처에서 동네북을 만들어 가뜩이나 추락해 있는 대기업 이미지를 벼랑 끝으로 몰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 명성관리PR을 유지할 수 없게 만드는 형국이다.

표만 좇는 정치인에겐 후원금 주지 말아야

 

정치인들이 경제인들을 비판하듯 경제인들도 정치인들의 잘못을 비판할 수 있어야 한다. 언제까지나 정치인들은 경제인들을 두들겨 패는데 경제인들은 이렇다 할 항변도 못하고 그저 맞고만 있어야 하는가? 30대 그룹이 100만 명이 넘는 고용을 창출하고 매년 설비와 연구개발투자를 늘려가며 국부창출에 일등공신인 대기업 경제인들은 세금 꼬박꼬박 내 정치인들에게 세비 내주고 정치자금 대주는데 어째서 돌아오는 건 뭇매와 비난 뿐인가? 오래 전 어느 대기업 회장이 ‘정치인은 4류’ 라고 말했다가 정치권에 혼쭐이 나 국내에 들어오지도 못하고 외국에서 떠돈 일이 있었으며, 고 정주영 회장은 이런 걸 참지 못하고 대선에 나섰다가 떨어져 엄청난 핍박과 고초를 겪었던 사례들이 경제인들의 비애를 대변해 준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치,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치는 도외시하고 표만을 좇아 대기업 때리기에만 열중하는 정치인들에게는 정치후원금을 내지 말자는 캠페인이라도 벌여야 한다. 투명하고 적법하게 경영해 견실한 기업을 가꾸고 있는 기업인들이 앞장서 나설 용기는 없는가? 미국의 스타벅스 회장처럼 재계 회장들에게 선거에만 관심을 쏟는 정치인들에게는 정치 후원금을 내지 말자고 촉구하는 이메일을 보낼 용기있는 리더는 한국에 없다는 말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창출보다 사회적 책임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기업인들은 기업할 의욕을 상실하고 기업가정신도 쇠퇴해 국부창출보다는 이자놀이와 외식업, 명품사업 등 손쉽게 돈 버는 데에 눈을 돌리게 된다. 그러면 시쳇말로 소는 누가 키우나? 채찍질도 당근을 주어가며 해야지 일방적으로 계속 몰아붙이면 쥐가 고양이를 물 수도 있는 법이다. 표보다도 국가와 민족의 미래를 먼저 생각하고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우선하는 애국심을 가진 정치인들의 존재가 아쉬운 시점이다.

세계적인 경제평론가인 아나톨 칼레츠키는 ‘자본주의 4.0’ 이라는 책에서 新자유주의를 대체할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으로 이를 제시했으며, ‘따뜻한 자본주의’ 라고도 불린다. 최근 모 일간지에서 시리즈로 게재해 우리 눈에 익숙해진 이 단어는 우리나라의 빈곤층 비율이 21%로 OECD 평균보다 두 배쯤 높은데, 정부가 비정규직이나 일할 의지가 없는 사람들을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되고 개입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언론사는 대기업에 대한 최근 정부의 일련의 조치들을 ‘자본주의 4.0’ 이라는 컨셉을 도입하며 정당화시키고 있지만 자유주의 시장경제체제하에서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몰락을 가져올 뿐이다.

최근 공정위에서 4대 그룹에 ‘공생발전 방안 자율선언’ 을 권고하고 있지만, 재계는 이는 자율을 가장한 강제선언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게 하나의 예이다. 일부 대기업에서 부의 대물림과 탈세 등으로 부도덕한 이미지를 주었지만, 이제 투명해진 사회 속에서 대기업들은 국부를 창출하는 한편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사회공헌과 봉사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이를 기업활동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정치인들은 자기 자식들에게도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칭찬에 인색하고 매만 드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